심리학3 비슷하면서도 다른 일본(한국 : 일본의 심리학적 차이) 평소 일본 여행에 관심이 많았다. 일본 여행을 두 번이나 다녀오고 나서 일본에 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에 대해 이것저것 자세히 찾아보면서... 한국과 일본이 분명히 차이가 있는데 무슨 차이가 있는지,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궁금해서 찾아봤다. 찾아본 내용을 공유한다~!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가깝다. 그러나 사회적 성향 및 심리적 특성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요즘 우리나라도 많이 변해가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외향성 중심 문화가 있는 것 같고, 일본은 내향성을 미덕으로 여기는 문화라는 인식이 흔하다고 한다. 아래에서는 사회심리학과 문화심리학 그리고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인의 성향 차이와 배경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외향성 중심의 한국 문.. 2025. 10. 26. 못 가지면 욕하고, 가진 건 합리화하기 - 신 포도 vs 단 레몬 심리(feat. 사회심리학) 심리학 책을 읽던 와중 최근에 내가 했던 합리화가 나와있어서 찔려서 리뷰한다. ㅋㅋ 며칠 전, 면접 봤던 회사에 떨어지고 나서 내가 한 말이 있다. "아 거기 리뷰 보니까 별로더라. 오히려 떨어진게 다행이야" / "나랑 안 맞았을 것 같아" 떨어지니까 괜히 합리화를 한 것이다 ㅎ 모두 이런 비슷한 경험 한 번쯤은 다들 있을 것이다. 대학 떨어진 후“어차피 내가 원하는 대학 아니었음”(떨어져서 마음이 안 좋으면서)소개팅에서 까인 후 “솔직히 내 스탈 아니었음”(사실은 차여서 속상한거면서) 괜히~~~이렇게 쎈 척하거나 아무렇지 않은 척하는 현상(합리화)을모두 잘 알고 있는 이솝우화「여우와 신 포도」 이야기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다. [신포도 여우 이야기]어느 산 속에 아주 탐스럽게 열린 포도가 있는 포도나.. 2025. 10. 24. 나에게 '심리학'이란... 어릴 때부터 '나'에 대해서, 그리고 '타인'의 행동과 생각에 대해서 '왜!?'라는 질문이 많았다.특히 '나는 왜 이럴까? 내가 왜 이따구일까!'에 대해 너무나도 알고 싶어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심리학은 배우면 배울수록 참 재미있는 학문이다. 인간이라는 개체는 정말 입체적이다. 잘 변하지 않는 성격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어떠한 계기나 사건으로 성격이 확 변하기도 하고...모두가 다른 듯 하지만 또 인간이기에 공유하고 있는 특성이 있기도 하고.. 등등인간은 복잡하다 닝겐..특히 인간의 내면 - 심리를 배우고 알아간다는 것은 재밌고 흥미롭다. 흥미롭지만 나를 돌아보고 내면을 깊게 들여다보게 되기 때문에 고통스러울 때도 있다. 스스로가 얼마나 찌질하고 못난 부분이 많은지, 극복되지 못한 상처로 .. 2025. 10.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