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2 비슷하면서도 다른 일본(한국 : 일본의 심리학적 차이) 평소 일본 여행에 관심이 많았다. 일본 여행을 두 번이나 다녀오고 나서 일본에 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에 대해 이것저것 자세히 찾아보면서... 한국과 일본이 분명히 차이가 있는데 무슨 차이가 있는지,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궁금해서 찾아봤다. 찾아본 내용을 공유한다~!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가깝다. 그러나 사회적 성향 및 심리적 특성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요즘 우리나라도 많이 변해가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외향성 중심 문화가 있는 것 같고, 일본은 내향성을 미덕으로 여기는 문화라는 인식이 흔하다고 한다. 아래에서는 사회심리학과 문화심리학 그리고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인의 성향 차이와 배경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외향성 중심의 한국 문.. 2025. 10. 26. 못 가지면 욕하고, 가진 건 합리화하기 - 신 포도 vs 단 레몬 심리(feat. 사회심리학) 심리학 책을 읽던 와중 최근에 내가 했던 합리화가 나와있어서 찔려서 리뷰한다. ㅋㅋ 며칠 전, 면접 봤던 회사에 떨어지고 나서 내가 한 말이 있다. "아 거기 리뷰 보니까 별로더라. 오히려 떨어진게 다행이야" / "나랑 안 맞았을 것 같아" 떨어지니까 괜히 합리화를 한 것이다 ㅎ 모두 이런 비슷한 경험 한 번쯤은 다들 있을 것이다. 대학 떨어진 후“어차피 내가 원하는 대학 아니었음”(떨어져서 마음이 안 좋으면서)소개팅에서 까인 후 “솔직히 내 스탈 아니었음”(사실은 차여서 속상한거면서) 괜히~~~이렇게 쎈 척하거나 아무렇지 않은 척하는 현상(합리화)을모두 잘 알고 있는 이솝우화「여우와 신 포도」 이야기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다. [신포도 여우 이야기]어느 산 속에 아주 탐스럽게 열린 포도가 있는 포도나.. 2025. 10. 24. 이전 1 다음